양도소득세 계산, 양도소득세 세율표 신고방법까지(+양도소득세 자동계산기)

부동산 매도 전 반드시 알아야 할 필수 정보!

양도소득세 계산부터 세율표, 그리고 간편한 자동 계산기까지 한 번에 정리해드립니다. 부동산, 주식, 분양권 등을 팔고 나면 반드시 신고해야 하는 양도소득세, 어떻게 계산하고, 언제까지 신고해야 할까요?



📌 양도소득세란?

양도소득세는 부동산, 주식, 토지 등 자산을 팔아서 생긴 이익에 대해 부과하는 세금입니다. 즉, 매수 가격보다 높은 가격에 팔아 발생한 차익에 대해 부과되는 것이며, 개인의 소득세의 일종입니다.


✅ 양도소득세 계산 방법

양도소득세는 단순히 판매 금액에서 구매 금액을 뺀다고 끝이 아닙니다. 아래와 같은 요소들을 모두 고려해야 합니다.

📍 양도소득세 계산 공식

양도차익 = 양도가액 - 취득가액 - 필요경비 양도소득 = 양도차익 - 장기보유특별공제 과세표준 = 양도소득 - 기본공제(250만 원) 양도소득세 = 과세표준 x 세율 + 지방소득세(10%)

Tip: 1가구 1주택자는 일정 조건을 충족하면 비과세 혜택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. (예: 2년 이상 보유 + 실거주 등)

 




📊 2025년 기준 양도소득세 세율표

양도차익 구간별로 적용되는 누진세율 구조입니다.

양도차익 구간세율
1,200만 원 이하6%
4,600만 원 이하15%
8,800만 원 이하24%
1억5천만 원 이하35%
3억 이하38%
5억 이하40%
10억 이하42%
10억 초과45%

🎯 중과세율 주의!
2주택자, 3주택자 또는 조정대상지역 내 다주택자의 경우, 기본 세율에 최대 20~30%의 중과세율이 추가 적용됩니다.

 



🧮 양도소득세 자동 계산기 활용법

복잡한 양도소득세 계산, 일일이 수식 따질 필요 없이 국세청 자동 계산기를 활용하세요.

👉 양도소득세 자동 계산기 바로가기 (국세청 홈택스)

사용 방법:

  1. 홈택스 로그인

  2. “양도소득세 자동계산” 메뉴 선택

  3. 부동산 종류, 취득/양도 일자, 가격 등 입력

  4. 자동으로 양도소득세 계산 결과 제공






📝 양도소득세 신고 방법

양도소득세는 직접 신고해야 하며, 납부하지 않으면 가산세가 부과됩니다.

📅 신고 기간

  • 예정 신고: 자산 양도일이 속하는 달의 말일로부터 2개월 이내

  • 확정 신고: 다음 해 5월 종합소득세 신고 시 함께 가능 (선택사항)

신고 방법 3가지

  1. 홈택스 전자신고

  2. 세무사 대행

    • 다주택자 등 복잡한 계산이 필요한 경우 추천

  3. 세무서 방문 신고

    • 필요 서류 지참 후 직접 방문하여 신고 가능


💡 양도소득세 절세 팁

  • 장기 보유특별공제 활용: 3년 이상 보유 시 보유기간에 따라 최대 30%까지 공제

  • 1세대 1주택 비과세 요건 충족 시 완전 비과세 가능

  • 양도 시기 조절: 연말보다 다음 해 초 양도 시 절세 효과 가능

  • 중과세 대상 여부 확인 필수